서브노티카 빌로우제로(SUBNAUTICA BELOW ZERO)
스스로 찾아야 하는 유물_해양 생물 분석기 [서브노티카 빌로우제로]
bogo-seo
2024. 9. 4. 06:23
마가렛 기지나 목화 아네모네를 찾으러 자주 들락거리게 되는 포인트가 있다. 신호로 알려주는 '파일럿-마지막 보고된 위치'가 그것.
파일럿 위치 신호와 시작점인 구명포드가 보이는 쪽으로 시트럭 방향을 맞춰본다. 이미지에서 보이는대로 북서 방향. (포드 출발지점에서는 남동쪽으로 달리면 '파일럿-마지막 보고된 위치'지점으로 갈 수 있다.)
고개를 내려 살짝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우측 방향을 보면 산소식물이 보인다. 그쪽으로 진입.
산소 식물 머리 뒤쪽 공간으로 들어간다.
가운데 뿌리가 보이고 그 오른쪽으로 두번째 산소식물, 원숭이 둥지를 지나 오른쪽 공간으로 진입.
그럼 바로 아래 사진처럼 갈림길이 나오게 된다.
이 사진에서 오른쪽으로 가는데, 우측 벽을 끼고 돌아준다는 느낌으로
구멍으로 직진이 아니고 우측벽을 끼고 돌아준다는 느낌으로 간다.
점선 원 방향으로 내려가주면 된다.
설계자의 유물_해양 생물 분석기
설계자의 유물은 찾는 갯수에 따라 보상이 주어지는데,
<스킨한 유물의 갯수/보상>
1 | 0번 안식처의 위치 |
2 | 양자 보관함 청사진 |
3 | 깊은 수련잎 동굴의 은닉처 힌트 |
4 | 재활용 장치 청사진 |
5 | 극지 첨탑 은닉처 힌트 |
6 | 이온 결합 베터리, 이온 결합 파워셀 청사진 |
9 | 크리스탈 동굴 은닉처 힌트 |
10 | 시트럭 순간이동 모듈, 연장끈 |
개인적인 생각으로 6개까지 빠르게 찾은 후 이온 결합 베터리와 파워셀을 제작하면 시트럭이나 시글라이드, 프라운 슈트등의 사용에서 좀더 편안하게 탐험을 즐길 수 있다. 일반 베터리와 비교했을때 이온 결합 베터리는 5배의 장시간 효율성을 갖기 때문이다.